2023 theme
2023 theme
2023 Kosta theme statement
‘You, dear children, are from God and have overcome them, because the one who is in you is greater than the one who is in the world.’
(1 John 4:4)

We live in a pluralistic society today, where it is believed that all kinds of people and beliefs should be acknowledged and accepted. More specifically, our society is now religiously pluralistic, meaning that everyone should have the right to worship (or not worship)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and enjoy religious freedom. This ideolog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ose who have faith and seek to testify to the gospel. Individuals face various other ideologies that they must compete with in order to preserve their own interests and beliefs. Therefore, Christianity is just one of many worldviews that competes and intercedes among different ideologies in a large pond as seen by the world.
오늘날 우리는 다원주의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는, 모든 종류의 사람들과 신념들이 선언되고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좀 더 명확히 말하면, 이제 우리 사회는 종교적으로 다원주의입니다. 즉, 모든 사람은 개인의 양심에 따라 예배할(또는 예배하지 않을) 권리와 종교적 자유를 가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사상은 믿음을 가진 우리들, 복음을 증거하려는 사람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줍니다. 개인은 각자의 관심과 신념을 지키기 위해 경쟁해야 하는 수많은 다른 이데올로기에 직면해야 합니다. 따라서 세상이 보기에 기독교는 여러 가지 신념들이 담긴 매우 큰 연못 안에서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들 사이에 끼어 경쟁하는 세계관들 중 하나가 될 뿐입니다.
In a world that is rapidly moving towards pluralism every day, how can the church correct its posture and influence the world? In a world where even Christians are actively departing from Christ, how can we refine our posture and make an impact? What should we remember?
날마다 더욱더 다원주의적인 방향으로 빠르게 나아가는 이 세상에서, 교회가 어떻게 자세를 바로잡고 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이 세상 기독교인들도 적극적으로 그리스도를 떠나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우리가 어떻게 자세를 가다듬을 것이며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요?
First, we should not fear living in an increasingly pluralistic society, but rather remember that there are advantages to it.
첫째, 우리는 점점 더 다원화되는 사회를 두려워하지 말고, 오히려 그것을 이용해야 할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Living in a pluralistic society allows us the freedom to express what we believe. We live in a place where we can testify to and share the gospel, which is not allowed in many countries. Also, pluralism brings about a kind of respect and care for individuals who should be respected and cared for in our faith in God and the resulting love towards others. Therefore, as Christians, we should unconditionally respect and care for individuals in pluralism and strive to show the love of God through our lives.
다원적인 사회에서 사는 것에 장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믿는 것을 표현할 자유가 있습니다. 복음을 증거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나라가 많지만 우리는 복음을 증거하고 나눌 수 있는 곳에 살고 있습니다. 또한, 다원주의는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믿음과 그에 따르는 삶에서 다른 사람들을 향한 우리의 사랑으로 전해져야 하는 개개인에 대한 일종의 존경과 보살핌이 잘 드러나게 해줍니다.
Of course, it does not mean that we have to agree with every pluralistic perspective or even act in the same way as those who fully embrace pluralism. It does not mean that we should refrain from expressing our disagreements or concerns about other perspectives in a wise and loving manner. It also does not mean that we should not make gentle efforts to persuade others to think and live according to Christ. In fact, pluralism encourages a social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exchange different opinions peacefully. We should utilize this worldview to share and proclaim the Gospel in a purposeful way in this world.
물론 우리가 모든 다원주의적 견해에 동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심지어 다원주의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다른 사람들이 하는 방식으로 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른 관점들에 대한 우리의 이견이나 반감을 현명하고 사랑스럽게 표현하는 것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들이 그리스도에 맞추어 생각하고 살도록 우리가 정중하게 설득하려고 노력하지 않을 것을 의미하지도 않습니다. 실제로 다원주의는 사람들이 평화로운 방식으로 서로 다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장려합니다. 우리는 이 세계관을 사용하여 복음을 나누고 전할 목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Secondly,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Gospel has never required cultural favor for its impact on others.
둘째, 태초부터 복음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문화의 호의를 필요로 한 적이 절대 없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Despite the prejudice and opposition against Christianity in this world, Christians do not falter when society opposes Christ. Rather, it is society itself that misses out and fails. In 2 Kings 6:15-16, when Elisha’s servant saw that the city was surrounded by numerous soldiers, horses, and chariots, Elisha reassured him, saying, ‘Do not be afraid, for those who are with us are more than those who are with them.’ God’s work is not interrupted by persecution. Likewise, God’s work will not be hindered by pluralism. Even in the face of strong opposition, we can declare, like Elisha, that those who are with us in the realm of heaven are greater than those who are in the world. And as Apostle John wrote in 1 John 4:4, ‘You, dear children, are from God and have overcome them, because the one who is in you is greater than the one who is in the world.’ In this pluralistic world, we can confidently say that the One who is with us is greater than the one who is in the world.
비록 이 세상에는 기독교에 대한 편견과 반대가 매우 많지만, 기억하십시오. 사회적 편견이 그리스도를 반대할 때 크리스천은 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사회가 스스로 기회를 놓치고 실패하는 것입니다. 왕하 6:15-16을 보면, 수많은 군사와 말과 병거가 성읍을 에워싼 것을 엘리사의 종이 보고 말할 때 엘리사가 대답하되 “두려워하지 말라 우리와 함께 한 자가 그들과 함께 한 자보다 많으니라”라고 합니다. 하나님의 일은 박해로 중단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일이 겨우 다원주의에 의해 중단되지 않을 것입니다. 강한 반대 속에서, 우리가 아무리 세상의 눈에 불리한 평판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하늘의 영역에 우리와 함께 있는 자들이 세상에 있는 자들보다 더 많다고 우리는 엘리사처럼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도 요한이 요한일서 4장 4절에, “자녀들아 너희는 하나님께 속하였고 또 그들을 이기었나니 이는 너희 안에 계신 이가 세상에 있는 자보다 크심이라”라고 기록한 것처럼, 이 다원주의 세상에 있는 자보다 우리와 함께 있는 이가 더 크시다고 우리는 말할 수 있습니다.
Lastly, in a pluralistic society, as believers, we have the right to express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just as non-Christians or anti-Christians enjoy their rights.
마지막으로, 다원주의 사회에서 우리 신자들은 비기독교인이나 반기독교인들이 권리를 누리는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When we listen to those who hold different views with a humble and loving attitude, we can gain the opportunity to engage in dialogue with them and share our faith. While we do not need to “win” in debates, it is necessary to clearly and confidently explain the differences in our faith in order to sow the gospel in their hearts. Even if our faith differs from or conflicts with the beliefs of those we converse with, we believe that the gospel has the power of God and that the implanted gospel can change their hearts forever. Romans 1:16 clearly states this: “For I am not ashamed of the gospel, because it is the power of God that brings salvation to everyone who believes: first to the Jew, then to the Gentile.” The gospel has the power that God has woven into it, and it is like a time bomb. Once the gospel is sown, it will explode when the time comes. When the gospel enters a person, the Holy Spirit uses it. So, when the time comes, the explosive power of the gospel will overcome sinful thoughts and ignite a fire in the hearts of sinners, leading them to repentance and receive eternal life.
우리와 견해를 달리하는 사람들의 말을 우리가 겸손하고 사랑스런 자세로 듣는다면, 그들과 대화할 권리를 얻을 수 있고 우리의 믿음을 그들과 나눌 수 있습니다. 대화할 때, 우리는 “토론에서 이길” 필요가 없지만, 그들의 마음에 복음이 심어지도록 믿음의 차이를 분명하고 확신 있게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의 믿음이 우리와 대화하는 사람의 믿음과 다르거나 대립할지라도, 복음에 하나님의 능력이 있고, 심어진 복음이 그의 마음을 영원히 바꿀 수 있다고 우리는 믿습니다. 세상에서 온 생각들에는 이와 같은 능력이 없습니다. 로마서 1장 16절은 이것을 분명히 알려줍니다: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 복음에는 하나님이 엮어 넣으신 능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마치 시한폭탄 같습니다. 일단 복음이 심어지면 때가 되어 폭발할 것입니다. 사람 안에 복음이 들어가면 성령께서 그것을 사용하십니다. 그래서 때가 되면 복음의 폭발하는 능력이 죄악의 생각들을 이길 것입니다. 그리고 죄인의 마음에 불을 붙여 거듭나서 영생을 얻게 하실 것입니다.
As Rev. John Stott said, “We live between two worlds.” We should seek wisdom from God to not compromise with the world and live in relationship with the world while holding on to God’s Word. Even though it may seem difficult to approach others at times, we must constantly look to God’s Word and remind ourselves of His faithfulness. Romans 14:11 says, “It is written: ‘As surely as I live,’ says the Lord, ‘every knee will bow before me; every tongue will acknowledge God.'” We fight not for our own glory and victory on this earth, but for the glory and victory of God. God is always faithful,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His Word teaches us: “Your faithfulness continues through all generations; you established the earth, and it endures” (Psalm 119:90). God also reminds us of His almighty power and eternal kingdom. Daniel 4:3 says, “How great are his signs, how mighty his wonders! His kingdom is an eternal kingdom; his dominion endur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존 스토트 목사가 말했듯이, 우리는 “두 세계 사이”에 삽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고 세상과 타협하지 않도록 하나님께 지혜를 구하며 세상에서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합니다. 비록 다른 사람에게 다가가기 어려워 보이는 시절이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끊임없이 바라보면서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되새겨야 합니다. 로마서 14장 11절은 “기록되었으되 주께서 이르시되 내가 살았노니 모든 무릎이 내게 꿇을 것이요 모든 혀가 하나님께 자백하리라 하였느니라”라고 말씀합니다. 이 땅에서 우리는 우리의 영광과 승리를 위해 싸우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과 승리를 위해 싸웁니다. 하나님은 또한 대대로 완전히 성실하신 하나님이심을 그의 말씀으로 가르쳐 주십니다. “주의 성실하심은 대대에 이르나이다 주께서 땅을 세우셨으므로 땅이 항상 있사오니”(시편 119:90). 그리고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의 전능하신 힘과 그의 왕국이 영원하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십니다. 다니엘서 4장 3절은 “참으로 크도다 그의 이적이여, 참으로 능하도다 그의 놀라운 일이여, 그의 나라는 영원한 나라요 그의 통치는 대대에 이르리로다”라고 말씀합니다.
Even though it may seem challenging to fulfill the mission of influencing future generations in a pluralistic world, God remains faithful forever. His reign will continue without change across generations, and He will fulfill His will even through our descendants. God has promised! Therefore, let us boldly proclaim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in the midst of a pluralistic society!
다원주의 세상에서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다음 세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사명을 감당하는 것이 어려워 보일지라도, 하나님은 영원히 성실하십니다. 하나님의 통치는 세대를 넘어 변함없이 계속될 것입니다. 당연히 우리의 후손들을 통해서도 하나님은 뜻을 이루어 나가실 것입니다. 하나님이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원화 사회 속에서도 여전히 예수 그리스도의 “주 되심”을 담대히 선포합시다!